“점심 먹고 나면, 눈이 반쯤 감긴 채로 일하는 느낌이에요.”
36세 디자이너 김도연 씨는 매일 오후 3시만 되면 집중력이 뚝 떨어진다.
카페인으로 버텨보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는 커피도 소용이 없고
작업 능률은 떨어지고 멍한 상태가 지속됐다.
‘혹시 저혈당인가?’ 싶어 병원에서 검사했지만 이상은 없었다.
의사는 “단순한 식곤증이나 피로가 아니라, 에너지 대사의 불균형”이라고 설명했다.
🔍 오후 집중력 저하, 왜 생길까?
오후 시간대는 누구에게나 졸림이 올 수 있는 시간대지만,
그 강도가 유독 심한 사람은 혈당의 급상승과 급하강, 수면 리듬 붕괴, 영양 불균형의 영향을 받는다.
📌 주요 원인
-
점심에 탄수화물 위주 식사 → 혈당 급등 → 인슐린 분비 → 에너지 급락
-
수면 부족으로 생체리듬 혼란
-
뇌 영양소 부족 (오메가3, 마그네슘, 비타민B군 등)
-
카페인 의존 → 반동성 피로 증가
✅ 오후 멍함을 깨는 루틴
-
점심 식사법 재정비
-
흰쌀·면류 중심 식단 → 현미, 닭가슴살, 채소로 변경
-
식사량은 ‘80% 포만감’까지만
-
-
오후 간식은 견과류나 삶은 달걀로 대체
-
당류 섭취 최소화, 집중력 유지
-
-
15분 짧은 산책 또는 창가 스트레칭
-
햇빛 노출 + 움직임 → 멜라토닌 억제 → 각성 유도
-
-
카페인은 오전 중에만, 오후는 허브차
-
카페인 내성 줄이고 수면에도 방해 없도록
-
📍 사례
김도연 씨는 점심을 회사식당 대신 도시락으로 바꾸었다.
잡곡밥, 삶은 달걀, 나물 위주 식단으로 구성하고,
오후에는 간식 대신 호두와 홍차를 마셨다.
처음엔 적응이 어려웠지만, 2주가 지나자 오후 시간대 피로가 확연히 줄었고,
퇴근 후에도 에너지 여유가 생겼다.
💬 “나른함은 피곤함이 아니라, 몸의 균형이 무너졌다는 신호”
오후에 찾아오는 무기력함을 당연하게 여기지 말자.
식사, 수면, 움직임 루틴만 바꿔도 뇌는 다시 활력을 되찾는다.
집중력은 의지가 아닌 ‘환경’에서 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