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부 건강기능식품 복용자들에게서 간 손상 등 부작용 사례가 보고되면서, 정부와 소비자 단체가 관리 강화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 2년간 건강기능식품 관련 이상 사례 보고 건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간 기능 이상, 위장 장애가 가장 흔하게 나타났다. 문제는 소비자들이 건강기능식품을 ‘안전한 보조제’로 오해해 과량 섭취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건강기능식품은 의약품이 아니므로, 과학적 근거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며 “효과를 보장할 수 없는 제품을 무분별하게 섭취하는 것은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소비자 단체는 ▲제품 표시 강화 ▲부작용 발생 시 신속한 회수 ▲광고 규제 강화를 촉구하고 있다. 특히 온라인 판매 증가로 불법·불량 제품이 유통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 정부의 적극적 단속이 요구된다.
정부는 내년부터 건강기능식품 이상사례 보고 의무화를 확대하고, 소비자 안전망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논란은 건강기능식품이 더 이상 ‘사각지대’가 아님을 보여주며, 제도적 관리 강화가 불가피하다는 점을 드러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