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의 절반 이상이 ‘아무리 자도 피곤하다’고 호소할 정도로 만성피로에 시달리고 있다. 피로가 일상이 되어버린 요즘, 최신 건강 트렌드는 소소한 ‘생활 습관 미세 조정’에 주목하고 있다. 부쩍 늘어난 재택근무, 디지털 기기 사용 증가, 불규칙한 식사 패턴 등 피로를 만드는 원인은 다양하지만, ‘작은 변화’가 쌓이면 충분히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조언이다.
최근 직장인 김진영(35)씨는 출근길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을 이용하기 시작했다. 점심 식사 후 5분 걷기, 퇴근 후 휴대폰 대신 종이책 읽기 등 작은 실천을 추가하자 며칠 만에 아침 기분이 눈에 띄게 달라졌다고 한다. 이처럼 피로를 덜기 위한 실생활 루틴은 어렵지 않게 시작할 수 있다.
한국형 만성피로 극복 실천 루틴
1. ‘깨어있는 시간 10분 햇볕 쐬기’
날씨가 좋지 않더라도 집 가까이 공원 산책이나 아파트 옥상~마당 걷기로 햇볕을 쬐면 신체 리듬이 규칙적으로 돌아온다. 자연광을 받아보는 것만으로 아침 졸림, 하루 무기력함 완화에 도움이 된다.
2. 작은 스트레칭, 자투리 움직임 챙기기
장시간 앉아있을수록 몸이 무거워지고 피로가 쌓인다. 스마트폰 알람을 1~2시간마다 맞춰 가볍게 기지개 켜기나 목 돌리기, 책상 앞에서 일어서기 등 ‘소소한 움직임 쌓기’가 효과적이다.
3. ‘핸드폰 없는 30분’ 실천
수면 전 30분간 휴대폰을 멀리두는 ‘디지털 디톡스’도 큰 변화로 이어진다. 파란 불빛 대신 조명 줄이고, 음악이나 책으로 휴식 시간을 보내면 뇌도 더 빨리 휴식 모드에 들어간다.
4. 일상 속 ‘미니루틴’ 정하기
아침에 간단히 따뜻한 물 한 잔 마시기, 점심에 배 깔고 누워 1분 숨 고르기, 자주 먹던 습관성 카페인 음료 대신 허브차로 대체 등 ‘작지만 꾸준히 할 수 있는 일상 루틴’이 피로감 개선에 도움을 준다.
전문가들은 “피로가 한 번에 사라지지 않더라도, 당장 거창한 운동이나 식단 변화보다는 일상에 쉽게 끼워 넣을 수 있는 소소한 습관부터 실천하는 것이 부담 없이 피로에서 벗어나는 길”이라고 말한다. 바쁜 현대인일수록 작고 구체적인 루틴을 통해 만성피로를 현명하게 관리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