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사박물관(관장 김용석)은 강릉최씨 대경공(흔봉)파 재경종친회(회장 최은철)로부터 1998년 보물로 지정된 ‘최유련 개국원종공신녹권(崔有漣 開國原從功臣錄券)’을 기증받았다. 이번 기증은 서울역사박물관 소장품의 가치를 높이고 시민에게 조선 건국과 서울의 역사를 소개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신녹권(功臣錄券)은 공신에게 수여했던 상훈 문서로 공을 세운 신하의 공적과 포상내용을 기재하여 그 특권을 증명하는 문서이다. 조선은 1392년 8월에 공신도감(功臣都監)을 설치하고 왕조 창업에 공을 세운 이들을 개국공신(開國功臣)과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으로 선정하였다. 고려 공민왕 때 문하시중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를 지낸 최유련은 태조 이성계를 왕으로 추대하여 조선왕조를 창업한 공으로 1395년 개국원종공신에 봉해져 공신녹권을 받았다.
전란(戰亂)과 화마(火魔) 속에서 628년 동안 지켜낸 보물 |
강릉최씨 문중에서는 예로부터 공신녹권이 전래되고 있다는 이야기가 있었지만, 그 실체를 찾지 못하다가 1990년대 들어서야 경기도 여주에 거주하는 종인(宗人) 최덕중(崔德重)씨의 자택에서 보관되고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최덕중씨의 선조들은 전란(戰亂)과 화마(火魔) 속에서도 공신녹권을 지켜냈다. 한국전쟁 시기에는 피난 전 공신녹권을 항아리에 넣어 마당에 묻어두기도 하였다. 이러한 노력이 있었기에 600여년 넘도록 공신녹권이 온전한 모습으로 전해질 수 있었다.
최유련 개국원종공신녹권에는 받는 사람의 성명과 신분, 7회에 걸친 공신들의 공적과 포상지시 및 처리 내용, 녹권을 받은 105명의 공신 명단과 포상 내역, 녹권 발급에 관여한 담당 관원의 직함과 성명 및 서명 등이 모두 208항에 걸쳐 기록되어 있다.
○ 최유련은 공신으로 봉해지면서 부상으로 토지 30결(結)과 노비(奴婢) 3구(口)를 하사받았다. 그리고 부모와 처에게는 작위를 주었고(封爵), 자손에게는 과거를 보지 않고도 벼슬길에 오르도록 하였고(蔭職), 후손에게는 사면(赦免)의 특전을 준다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 또한 공신녹권의 끝부분에는 공신도감, 이조 등 녹권을 발급하는데 관련된 관원 17명의 직위와 이름이 적혀 있고 이 중 16명의 이름 밑에 서명이 있다. 크기는 세로 31㎝ 가로 635㎝이며, 닥종이 9장을 붙여 제작하였다.
○ 최유련 개국원종공신녹권은 원문의 훼손이 거의 없이 양호한 편이며 희귀한 조선 개국 관련 자료로 가치를 인정받아 1998년 보물 제1282호로 지정되었다.
서울역사박물관과 강릉최씨 종친회의 지속적인 협의에 따른 기획기증 성과 |
이번 기증은 소장자의 협조와 박물관의 사전 준비를 통해 적극적으로 추진된 ‘기획 기증 사업’의 성과 중 하나이다.
○ 강릉최씨 종친회는 공신녹권의 관리와 보존에 대해 서울역사박물관과 여러 방안을 검토하였다. 강릉최씨 종친회는 서울역사박물관의 유물의 관리와 보존 환경을 확인하기 위해 수장고와 전시실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신뢰를 쌓은 결과 최종 기증을 결정하고 논의를 거쳐 지난 2월 28일 인수인계식을 가졌다.
강릉최씨 대경공(흔봉)파 재경종친회 최은철(崔銀澈) 회장은 “선조께서 남겨주신 소중한 문화유산을 종친회에 보관할 것이 아니라 널리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기증을 결심하게 됐다. 도난이나 유물이 손상될까 노심초사했었는데 이제 안심이 된다”고 소감을 전했다.
서울역사박물관 김용석 관장은 “600여 년을 지켜온 귀중한 문화재를 서울시민에게 주신 강릉최씨 문중 여러분의 큰 결심에 감사드린다”며 “기증의 의미와 가치를 살려 기증유물을 시민들이 널리 향유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용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울역사박물관은 일반 시민 및 관련 연구자 등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공신녹권 고화질 사진 파일을 누리집(museum.seoul.go.kr)에 게시하고 있다. 또한 유물 상태 확인, 보존처리 등을 거처 3월 중 시민에게 공개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기증받은 유물의 보존과 전시 등 활용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인다는 입장이다.
출처 : 서울역사박물관 유물관리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