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리포노믹스’ 시대, 바쁜 일상 속 건강한 수면 지키는 생활 루틴

0
2
pink bell alarm clock showing 2:10

바쁜 현대인들에게 ‘잘 자는 것’은 점점 더 중요한 건강관리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최근에는 ‘슬리포노믹스(수면+이코노믹스)’라는 신조어가 등장할 만큼, 숙면을 돕는 다양한 서비스와 제품이 쏟아지고 있다. 그러나 수면의 질을 높이는 가장 중요한 비결은 결국 일상 속 작은 습관에서 시작된다.

서울 강서구에 거주하는 직장인 김유진 씨(35)는 “초저녁에는 스마트폰 사용을 최대한 줄이고, 잠들기 전에는 스트레칭을 하려고 노력한다”고 말한다. 최근 몇 달간 이런 습관을 들인 뒤 아침 피로감이 확연히 줄었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기상 시간과 취침 시간을 하루 중 가장 일정하게 지키는 것이 핵심이라고 조언한다. 주말엔 늦잠을 자고, 평일엔 억지로 일찍 일어나려 하지 말고 비슷한 시간대에 일어나고 자는 ‘일관된 루틴’이 우리 몸의 생체리듬을 바로 잡아주는 데 도움이 된다.

이와 함께 실내 조명과 온도, 침구 상태 등 환경의 힘도 무시할 수 없다. 침실은 가능한 한 은은한 조명으로, 온도는 약간 서늘하게(대략 18~22도) 맞추는 것이 좋다. 침구는 계절에 맞게 준비해 쾌적함을 유지하면, 뒤척임이 줄어든다.

또한 최근 건강 트렌드로 떠오른 ‘디지털 디톡스’ 역시 수면 관리에 효과적이다. 잠들기 전 1시간 정도는 휴대폰, TV, 태블릿 같은 디지털 기기 사용을 줄이고, 종이책을 읽거나 명상, 은은한 스트레칭을 하는 것도 추천된다.

하루 중 야외 활동이나 산책을 20~30분만이라도 꾸준히 하는 것은 신체 리듬을 회복하는 좋은 방법이다. 햇볕을 자주 쬐면 수면을 조절하는 호르몬 리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수면용품이나 앱 등 다양한 도구도 활용할 수 있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자신에게 맞는 생활 루틴을 찾고, 실천을 이어가는 것이다. 오늘 밤부터 작은 실천을 시작해보는 것은 어떨까. 건강한 생활의 시작, 바로 숙면에서 출발한다.

회신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