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내년부터 특성화고 및 학교 밖 청소년 대상으로 ‘청소년 노동건강권 교육’
경기도가 청소년들의 노동건강과 안전보건 의식을 높이기 위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및 학교 밖 청소년 600여 명을 대상으로 내년부터 ‘청소년 노동건강권 교육’을 실시한다.
경기도는 3일...
내년 초등학교 취학통지서, 온라인으로도 받는다
초등학교 취학통지 제도 도입 이후 68년 만에 전국 모든 취학아동 대상의 취학통지서를 온라인으로 발급 받을 수 있게 된다.
교육부와 행정안전부는 오는 12월 3일부터 12일까지 정부24...
미등록 이주아동 필수 사회활동·학습권 보장한다
필수적 사회활동을 위해 미등록 이주아동의 불법체류 사실 통보의무 유예·면제 대상이 확대되고, 국내 재학 중인 미등록 이주아동도 임시식별번호·학생증·재학증명서를 통한 신원확인이 가능해진다.
또 국내에서 출생한 모든 외국인아동에...
학생 특성 반영한 ‘맞춤형 원격교육’ 가능해진다
앞으로 교육부 장관과 교육감이 정하는 원격교육 운영기준에 학교급, 학년 또는 학생의 발달단계 등을 고려해 학생 맞춤형 원격교육을 지원하게 된다.
또 대학 등의 원격교육관리위원회에 학생 위원이...
“내년 1학기 국가장학금 신청하세요”…서민·중산층 지원 확대
내년부터 서민·중산층까지 국가장학금 지원이 확대되고, 다자녀 가구의 자녀수에 따른 경제적 차이가 반영되도록 학자금지원구간 산정 제도가 개선된다.
교육부와 한국장학재단은 이 같은 내용으로 개선된 2022학년도 1학기 1차...
교육 분야 핵심데이터 제공으로 국민 편익 증진·데이터 가치 창출
정부가 교육 분야 핵심데이터 제공으로 국민 편익을 증진하고 데이터 가치를 창출한다.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18일 서울중앙우체국에서 제7차 데이터 특별위원회(이하 데이터특위)를 개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미개방...
교권침해 교사 요청 시 ‘학교교권보호위원회’ 개최 가능해진다
정부가 학교장 요청 외에도 피해 교원이 요청하는 경우 학교교권보호위원회를 개최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 개정을 추진하고, 직무 소진 상태(번아웃)에 이른 교원을 대상으로 교원치유지원센터를 통해...
18일 51만명 수능…확진자 68명·자가격리자 105명 따로 응시
교육부가 수능을 하루 앞둔 17일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준비상황을 공개했다.
지난 16일 0시 기준 교육부 집계 결과에 따르면, 수능 지원자 50만 9821명 중 확진 수험생은...
대학등록금 결정하는 등록금심의위 구성, 학칙으로 정한다
앞으로 각 대학 등록금심의위원회(이하 등심위)의 위원 구성이 학칙으로 정해지고, 학생·교직원 등도 회의에 참석해 발언할 수 있게 된다.
교육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대학 등록금에 관한...
수능일 수험생 마스크 반드시 착용…점심 때만 칸막이 설치
일반·자가격리·확진 등 수험생 유형별로 마련된 별도의 시험장이 운영되고, 수능 예비소집일인 17일에 수험표를 수령하기 어려운 자가격리 또는 확진 수험생에 한해 직계가족 또는 관계를 증명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