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탄고지(LCHF) 식단, 건강에 정말 안전한가? 전문가들의 논란 속 진실은

0
2
person holding a bread with sliced lemon

최근 저탄고지(LCHF, Low-Carb High-Fat) 식단이 건강과 다이어트에 효과적이라는 주장이 확산되면서 많은 이들이 이 식단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기존 식단의 탄수화물 섭취를 대폭 줄이고 지방을 상대적으로 많이 섭취하는 LCHF 식단은 체중 감량 효과, 혈당 및 인슐린 수치 개선 등 긍정적인 사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장기적인 건강 안전성을 두고 여전히 논란이 있음을 지적합니다.

저탄고지 식단은 지방 섭취 비중을 높이는 대신 밥, 빵, 면, 설탕 등 대표적인 탄수화물 식품을 극도로 제한합니다. 실제로 여러 임상연구에서는 LCHF 식단이 단기간에 체중 감소와 심혈관 위험 요인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또한 당뇨나 인슐린 저항성 문제가 있는 일부 환자에겐 혈당 조절 및 약물 사용 감소 등의 긍정적 변화가 보고되었습니다.

반면, 탄수화물을 장기간 지나치게 제한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우려도 만만치 않습니다. 대한영양사협회 등 전문가 단체는 장기적으로 채소와 과일 섭취 부족, 식이섬유 결핍, 콜레스테롤 및 포화지방 섭취 증가로 인한 심혈관질환 위험 증가, 그리고 케톤 산증과 같은 부작용 가능성 등을 지적합니다. 일부 연구는 고지방 위주의 식단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있을 수 있음을 경고합니다.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신정우 교수는 “단기간 체중 감량에는 도움이 될 수 있으나, 누구에게나 효과적이고 안전하다고 보긴 어렵다”며 “특히 심혈관질환, 신장질환, 임신부, 아동·청소년 등은 반드시 전문가의 상담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처럼 LCHF 식단은 개개인 건강 상태와 신체 특성에 따라 효과와 위험이 다를 수 있습니다. 단순 유행을 좇기보다는, 의료 전문가와 충분히 상담 후 올바른 영양 균형을 유지하는 식습관으로 건강을 지키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회신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