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압 높다고 약부터 먹어야 할까요?”… 스트레칭으로도 조절 가능한 고혈압

0
21
a doctor checking the blood pressure of a patient

고혈압 환자라면 흔히 “운동하세요”라는 말을 듣는다. 하지만 바쁜 일상 속에 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하기란 쉽지 않다.
이럴 때 놓치기 쉬운 대안이 있다. 바로 정적 스트레칭이다.

최근 미국 심장협회(JAHA)는 주 5일, 하루 30분의 스트레칭만으로도 수축기 혈압이 평균 8mmHg, 이완기 혈압이 5mmHg 낮아졌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일반적인 걷기 운동과 비슷하거나 그 이상의 효과다.

스트레칭이 혈압에 영향을 주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 혈관 주변 근육을 이완시키고

  • 말초혈류가 개선되며

  • 자율신경계 균형이 잡히기 때문이다.

혈압 조절에 효과적인 스트레칭 부위는

  • 종아리, 허벅지, 엉덩이 → 하체 혈류 개선

  • 어깨, 등 → 상체 긴장 완화

  • 목, 손목 → 교감신경 자극 감소

기본 루틴은 다음과 같다:
① 종아리 스트레칭(벽 밀기 자세) 30초 × 2회
② 햄스트링 늘리기 30초 × 2회
③ 양팔 머리 위로 뻗은 후 옆으로 기울이기 20초
④ 목을 천천히 4방향으로 돌리기
⑤ 마지막으로 호흡: 들숨 4초 – 정지 2초 – 날숨 6초 반복

스트레칭은 별도 준비물도 필요 없고, 10분 내외로 가능하다. 고혈압은 ‘움직이지 않아 생기는 병’이다.
걷지 못한다면, 늘어나는 것부터 시작해도 늦지 않다.

회신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