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MZ세대는 감정을 숨기는 데 익숙하다.
특히 화, 슬픔, 질투, 불안 같은 **’불편한 감정’**을 마주하는 것이 두렵다.
하지만 감정은 억제한다고 사라지지 않는다.
감정을 회피하지 않고 다루는 루틴이 필요하다.
😶 감정을 회피하면 생기는 문제
-
감정은 억눌릴수록 몸과 행동에 틈으로 스며든다
-
분노 → 과민 반응, 소화 장애
-
슬픔 → 무기력, 무감각
-
불안 → 과도한 통제욕 or 회피 행동
-
감정 표현이 미숙해질수록, 관계는 멀어진다
🌱 감정 다루기 루틴 5단계
-
감정에 이름 붙이기
-
“지금 이 감정은… ○○이다.”
-
가능한 한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 (짜증 → 실망, 좌절)
-
-
몸 감각과 연결하기
-
이 감정이 어디에 느껴지나? → 가슴, 턱, 목, 배 등
-
10초간 숨 쉬며 감각을 바라보기
-
-
감정에게 말 걸기
-
“넌 왜 왔니?”, “내가 뭘 놓치고 있었니?”
-
감정은 정보다. 메시지를 듣는 연습
-
-
반응하지 않고 ‘지나가도록’ 두기
-
충동적으로 말하거나 행동하지 않기
-
감정을 억누르지 않고, 떠오르게 두되 흘려보내기
-
-
감정 회복 행동 넣기
-
운동, 산책, 글쓰기, 대화 등 → 감정 소화 루틴 만들기
-
🧰 실천 팁
-
‘감정 카드’ 앱 활용해 감정 명확화
-
감정 일기: 오늘 가장 강했던 감정은? 원인은?
-
불편한 감정과 5분 산책하기 → 감정 이동 효과
🩺 전문가 코멘트
감정중재 상담사 이은하 씨는
“감정 회피는 단기적으로 안전하게 느껴지지만,
장기적으로 감정 기능 자체를 무디게 만든다”며,
“감정도 메시지이고 신호이며,
이를 받아들이는 태도 자체가 정서적 회복력을 만든다”고 강조한다.
✅ 감정을 인정하는 것이 감정 조절의 시작
불편한 감정은 나쁜 것이 아니다.
그저 우리 안에서 무언가가 필요하다는 신호일 뿐이다.
감정을 밀어내지 않고
바라봐주는 연습.
그게 진짜 멘탈 회복의 시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