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로 치안현장 문제 해결…‘폴리스랩 2.0’ 추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경찰청이 치안현장의 문제를 과학기술로 해결하도록 지원하는 ‘폴리스랩 2.0’을 추진한다.
과기정통부와 경찰청은 22일 과제 기획부터 실증, 현장 적용까지 연구개발 전 과정에 국민과 경찰이 참여하는 ‘치안현장...
‘초격차 기술력’ 확보 위해 민간중심의 국가 연구개발 체계 혁신
정부가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 시대에 초격차 기술력을 확보하기 위해 민간 중심의 변화에 유연한 국가 연구개발(R&D) 체계로 혁신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5일 ‘민관 협력 기반으로 국가혁신체제를 새롭게 구축하고...
AI 학습용 데이터 190종 추가 개방…총 381종으로 늘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 인공지능 기술과 산업 발전을 견인할 AI 학습용 데이터 190종(5억 8000만 건)을 AI 통합 플랫폼 AI허브(aihub.or.kr)를 통해 추가로 개방한다고 12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2017년부터 기업, 연구자...
디지털 인재 공급 확대…민·관 협력형 교육과정 신설한다
정부가 기업과 함께 신속하게 디지털 인재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민·관 협력형 교육과정을 신설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7일 개최한 ‘제3차 디지털 국정과제 연속 현장 간담회’에서 ‘디지털 혁신인재 양성...
‘GPS 위치 오차 1m이내로’…항공위성 1호기 발사 성공)
위치 오차를 1m 이내로 보정해 주는 ‘한국형 항공위성서비스(KASS)’ 운용을 위한 항공위성 1호기가 23일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항공위성 1호기는 이날 오전 6시 50분경(한국시간) 남미 기아나...
과기부, 고급 디지털 인재 양성 대학 21곳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새정부의 주요 국정과제인 ‘디지털 경제 패권국가 실현’과 ‘100만 디지털 인재양성’을 본격 이행하기 위해 석·박사 고급 인재양성 대학 21곳을 신규 선정해 지원에 나선다고 21일...
과기정통부, ‘차세대 전지 초격차 R&D 전략’ 수립 착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국가필수전략기술의 하나인 이차전지를 비롯한 수소연료전지, 동위원소전지 등 차세대 전지 분야의 초격차 기술 선점을 위해 ‘(가칭)차세대 전지 초격차 R&D 전략’ 수립에 착수한다.
이를 위해 산·학·연...
과기부, 실시간 해저재해 감시 기술개발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부터 5년간 240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해 해저재해 감시망을 구축하는 ‘실시간 해저재해 감시 기술개발사업’에 본격 착수한다고 9일 밝혔다.
실시간 해저재해 감시 기술개발사업은 해저지진, 지진해일, 해저사면붕괴 등을 실시간으로...
경기도,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산업화 기반 구축에 국비 100억 원 확보
경기도는 도가 참여한 컨소시엄이 최근 산업통상자원부가 공모한 ‘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 -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산업화 지원을 위한 인프라 및 기반 구축’ 과제에 선정됐다고 26일 밝혔다.
마이크로LED는 스스로...
경기도 산학협력 지원으로 열감지 센서 핵심부품 양산체제 구축
경기도 산학협력 지원으로 성균관대 연구팀이 열화상 카메라의 필수 구성품인 열 감지 센서 개발에 성공해 본격적인 제품 양산체제를 구축했다.
24일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도 지역협력연구센터(GRRC)에서 연구를...